구슬이네 IT & Media / IT 와 미디어를 바라봅니다



1. insert select

insert into  넣을 테이블명

select * from 조회테이블명 where ~~~

2. select insert

select 필드명 into 넣을 테이블명

from 테이블명 wher ~~

* select insert의 경우 쿼리실행시 테이블이 바로 생성도지만.. 테이블에 키는 복사되지 않음

 

참고문서

 

http://blog.naver.com/lhs860226?Redirect=Log&logNo=156326619



내용보기


tar -tvf 파일명

 

특정파일만 풀기

zcat 압축파일명 |tar xvf - 풀어야할파일명

 



제가 자주 들르는 jsp사이트인 okjsp에 IT를 지망하는 학생이 질문을 하고 사람들이 답변을 해주는데요, 제 생각도 그리 틀리지 않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출처 : http://www.okjsp.pe.kr/seq/193569


네이버 지식인에서 검색하다 본 글인데 
답변이 되게 현실적이네요 ㅋㅋ 

--------------------------------------- 

중3인데 프로그래머가 되고 싶습니다. 
성적은 최상이고요. 

1. 지금 중3인데.. 늦었나요? 

2. 아직 중학생이지만.. 대학교는 어디쪽으로 가는 게 좋을가요? 

3. 어떤 과목을 잘해야 하나요? 

4. 자격증 필요한가요? (워드, 파워포인트 등등..) 

5. 지금은 일단 그냥 학교 공부에 충실하는게 좋을까요..? 
지금 C++같은 거 당장 안해도 될까요? (대학 가서 하면 늦는지..) 

부탁드립니다! 




1. 지금 중3인데.. 늦었나요? 
너무 이릅니다. 
지금은 성적유지에 매진해야 합니다. 
이유는 아래에 말씀드리겠습니다. 

2. 아직 중학생이지만.. 대학교는 어디쪽으로 가는 게 좋을가요? 
되도록 일류대를 가시기 바랍니다. 

의대나 치의대로 가실 수 있으면 의대, 치의대과로 가시고, 
판사,검사가 되는 로스쿨을 가실 수 있으면 그곳으로 가시기 바랍니다. 

의대,치의대,로스쿨에 못 가시는 성적이면, 
경영학과로 유명한 대학의 경영학과에 가시기 바랍니다. 
특히 경영학과는 선배들이 끌어주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렵습니다. 

일단 일류대라도 나와야 
대형IT기업이나 외국계IT컨설팅 회사를 무난하게 들어갈 수 있습니다. 

게다가 혹시라도 나중에 잘못 들어왔다 싶을때, 
언제든지 '이바닥'을 빠져나가서 공무원이나 공사직, 대기업 공채라도 도전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일류대를 가셔야 합니다. 

사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은 취미로 해야 가장 재미있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3. 어떤 과목을 잘해야 하나요? 
영어와 수학이 제일 우선입니다. 
프로그래밍을 하든 뭘 하든 영어와 수학을 하지 못하면 
요즘과 같은 글로벌 시대에 정보 수신의 제한으로 아무것도 못합니다. 

4. 자격증 필요한가요? (워드, 파워포인트 등등..) 
그런거 필요 없습니다. 
현직 프로그래머들도 그런 자격증은 가진 사람이 없습니다. 
정보처리기사라는 국가기술자격증과 그 외 각자의 전문분과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5. 지금은 일단 그냥 학교 공부에 충실하는게 좋을까요..? 
지금 C++같은 거 당장 안해도 될까요? (대학 가서 하면 늦는지..)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무조건 학교 공부를 잘 해서 
반드시 4년제 대학에 들어가야 합니다. 

[개인의견] 
우선 질문자께서 컴퓨터 프로그래머라는 직업에 대해 먼저 알아보셔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것 같아서 현실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필독하시고 이해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우선, 
우리나라에서는 인력의존성 노동은 중노동에 비해 댓가를 충분히 받지 못합니다. 
재료가 들어가는 일의 경우는 인력을 더 시켜먹고 싶어도 시켜먹지 못하지만, 
인력의존성 노동은 하루에 20시간도 일을 시킵니다. 
야간근무시 지급하는 연장근로수당이라든가, 휴일근무시 지급하는 특별근로수당 같은건 없습니다. 
그런건 외국 얘기입니다. 
우리나라에는 그런거 없이 무조건 공짜노동인 경우가 95%입니다. 
공짜니까 기업들은 무조건 공짜노동을 요구하죠. 

대표적인 공짜노동 직업이 바로 컴퓨터 프로그래머라는 직업입니다. 
한달에 200만원 받고 400시간 넘게 일하는 직종이 이 분야입니다. 
명색이 지식노동인데 시급 5천원 수준 밖에 안되냐고요? 
그러니까 하는 사람이 없죠. 

야근이나 철야근무, 휴일근무 등의 공짜근로를 시키면 
인력들이 순순히 공짜노동을 할까요? 
그래서 폭언과 협박, 노예대우로 프로그래머들의 기를 확 꺾어놓는게 중요합니다. 

프로그래머가 되면 폭언과 협박, 노예대우를 받는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그래서 일류대를 가서 의대,치의대로 진학하여 
안철수교수님처럼 의사생활을 하며 프로그램을 개발하든지, 
전문IT기업이나 외국계IT컨설팅 회사를 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기업 IT계열사도 노동강도가 강하고 근무환경이 열악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이바닥'은 항상 사람이 모자랍니다. 
10만명 충원하면 2년 내에 9만9천9백명 도망가고 1백명만 남아서 일합니다. 

유교문화 특성상 엔지니어링이라는건 단순노무직으로 치부됩니다. 
조선시대에 천대받던 도공이나 석공들 얘기 자주 들으셨죠? 
그 사람들이 왜 천대를 받았습니까? 
관료(공무원)들이 '너희가 할 수 있는건, 그저 항상 일상적 패턴화 된 도자기 빚는 기술, 돌 쪼아는 기술이야.', '그깟거 배우면 아무나 다~ 하는 기술이야~ 별거 없는 기술이야~' 
'반면에 우리같은 관료(공무원)들이 하는 일은 너희를 관리하는 일이므로, 우리가 너희를 천대하고 월급을 더 많이 받고 편하게 일하는건 당연한 일이지'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지금 프로그래머 대우가 그 정도입니다. 
프로그래머에게 일을 시키는 공무원이라든가 대기업 직원들이 
프로그램 같은건 자기네가 안배웠을 뿐이지, 
배우면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래머는 죽었다 깨어나도 대우를 받을 수 없습니다. 
잘하면 잘 할수록 오히려 밤낮없이 쥐어짜이는게 '이바닥'입니다. 

많은 일류대 출신들이 프로그래머로 입성했지만, 
대부분 5년 뒤에는 공무원을 하고 있거나 프로그래머가 아닌 다른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류대나 의대로 가라는겁니다. 
나중에 이바닥에 들어왔다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면 인생이 불행해 질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개발의 대부분이 SI라는 서비스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SI라는 것은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의뢰를 받아 그들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인데, 
사실상 개,돼지 취급 받으면서 휴일,밤낮 없이 프로그램 만드는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나라 소프트웨어산업의 99%가 SI에 편중되어 있습니다. 
나머지 1%가 유틸리티나 게임, 솔루션 등을 개발합니다. 

공공기관과 몇 몇 대기업이 전부 독식하다보니, 
프로그래머들의 인건비와 근무환경도 이들이 전부 지멋대로 정해놓습니다. 

휴일,밤낮 없이 싸게 부려먹으니 사람들이 안하려고 하고, 전부 도망갑니다. 
프로그래머들이 귀해지니까 임금이 상승합니다. 
그런데, 공공기관과 대기업들이 프로그래머의 월급이 상승하게 그냥 두겠습니까? 
어떻게든 싸게 개,돼지처럼 부려먹어야 하니까, 
지금도 국비학원 등으로 엄청나게 인력을 양산해냅니다. 
프로그래머들이 많아지면 선택의 폭이 넓어지니까 적은 돈으로 개,돼지처럼 부려먹을 수 있죠. 

그래서 프로그래머는 능력보다는 체력이 제일 중요하고, 
프로그래머의 정년은 40살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 때부터는 프로그래밍을 안하고 '프로젝트 관리자'라는 것을 하는데, 
본업은 문서 정리하고, 일정 체크하고, 인력관리를 하는 사람이지만, 
실제로는 고객에게 개소리를 듣고 본사로부터 업무적 압박을 받는게 주된 업무입니다. 

대기업 IT계열사에 간다고 다르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중소기업보다 나은 정도일 뿐이지 SI판은 어디나 다 비슷비슷~~ 합니다. 
좋은 곳도 있지만, 좋지 않은 곳도 꽤 많습니다. 

어차피 SI바닥에서 일한다는건 '일진 앞에 빵셔틀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하루 하루 매일 괴롭힘을 당하고 노예처럼 일하게 될 겁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나요? 
첫번째 최우선 선택권 
의사나 판사,검사가 된 후, 취미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안철수 교수님이 바로 의사출신 프로그래머입니다. 


두번째 선택권 
대형IT기업이나 외국계IT컨설팅 회사에 들어가는겁니다. 
급여는 초임 연봉 3200 ~ 3600으로서 매우 높습니다. 
일을 즐기는 즐거움이 있는 곳이 많습니다. 

하지만 대형IT기업도 편하다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출신대학 별로 파벌이 심해서 자발적으로 퇴직하는 일이 자주 생기는데, 
이바닥은 나이 40에 회사 나오면 갈데야 많지만 들어가서 인간취급 받는 곳은 드뭅니다. 
아마 이 회사 저 회사 떠돌다가 SI바닥으로 들어가 노예생활을 하게 되는 경우도 봤습니다. 


세번째 선택권 
대기업 전산센터에 전산관리자로 입사하는겁니다. 
급여는 초임 연봉 2800 ~ 3200으로서 상당히 높습니다. 
프로그램 개발능력은 없어도 되며 
그냥 전화 잘 받고 모니터링 잘 하고 파견나온 하드웨어 설치 인력들 잘 조지면 됩니다. 


네번째 선택권 
여기부터 추천하지 않습니다. 
대기업 IT계열사로 입사하는겁니다. 
급여는 전산센터와 마찬가지로 2800 ~ 3200으로서 상당히 높습니다. 
개발파트가 아닌 이상 프로그램 개발능력은 없어도 되며, 
개발파트 일지라도 잘 하지 않아도 됩니다. 
어차피 하청,파견업체 프로그래머들 중에 능력되는 애들 많으니, 
걔네들을 하대하고 괴롭히며 조지면 다 만들어집니다. 

그러나 대기업도 대부분 SI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고, 
부서간 알력싸움이 매우 심하기 때문에, 
야근도 많고 밤 새는 일도 있습니다. 
그리고 때 되면 인사이동이라고 인력을 주기적으로 잘라냅니다. 
그래서 대기업 직원들도 상당히 불안한 경우가 많습니다. 


다섯번째 선택권 
여기서부터 지옥행 급행열차 티켓 발급받습니다. 
중소기업에 들어가서 프로그래머가 되는건데, 
대부분 SI사업장에 하청을 받아서 인력을 파견보냅니다. 
말이 파견이지 인력 팔아서 삥 뜯어먹는 업체들이 대부분입니다. 
야근, 철야, 휴일 근무 등 사람이 할 일이 못됩니다. 
능력이 있으면 있을수록 쥐어짜이는게 '이바닥'입니다. 

일류대 출신이라고 다른거 없습니다. 
고졸이나 전문대졸, 지방대졸자처럼 개,돼지 취급을 받습니다. 
오히려 담당자 입장에서 프로그래머가 일류대 출신이라는 것을 알면 더 괴롭힐껄요. 

[결론] 
그러니까 공부 열심히 하셔서 의사나 판검사가 되시고, 
프로그램 개발은 취미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화면을 회전하기 싫어도 돌아가는 경우에는

인텔 그래픽 카드인 경우

CTRL + ALT + F12 누르면 설정화면이 나온다.

 

image

 

바로가기 키를 사용안하면 됨

 

 

image



참고문서 : http://wiki.openwrt.org/doc/howto/lamp

 

root@OpenWrt:/mnt/usb1#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root                30.4M      8.7M     21.7M  28% /
tmpfs                    30.2M     76.0K     30.2M   0% /tmp
tmpfs                   512.0K         0    512.0K   0% /dev
root@OpenWrt:/mnt/usb1#

 

root@OpenWrt:/mnt/usb1# opkg update
Downloading http://downloads.openwrt.org/backfire/10.03.1/ar71xx/packages/Packages.gz.
Inflating http://downloads.openwrt.org/backfire/10.03.1/ar71xx/packages/Packages.gz.
Updated list of available packages in /var/opkg-lists/packages.
root@OpenWrt:/mnt/usb1#

 

root@OpenWrt:/mnt/usb1# opkg install libpthread libncurses libreadline mysql-server
Package libpthread (0.9.30.1-43.32) installed in root is up to date.
Installing libncurses (5.7-2) to root...
Downloading http://downloads.openwrt.org/backfire/10.03.1/ar71xx/packages/libncurses_5.7-2_ar71xx.ipk.
Installing libreadline (5.2-2) to root...
Downloading http://downloads.openwrt.org/backfire/10.03.1/ar71xx/packages/libreadline_5.2-2_ar71xx.ipk.
Installing mysql-server (5.1.53-2) to root...
Downloading http://downloads.openwrt.org/backfire/10.03.1/ar71xx/packages/mysql-server_5.1.53-2_ar71xx.ipk.
Installing libmysqlclient (5.1.53-2) to root...
Downloading http://downloads.openwrt.org/backfire/10.03.1/ar71xx/packages/libmysqlclient_5.1.53-2_ar71xx.ipk.
Installing uclibcxx (0.2.2-3) to root...
Downloading http://downloads.openwrt.org/backfire/10.03.1/ar71xx/packages/uclibcxx_0.2.2-3_ar71xx.ipk.
Configuring libmysqlclient.
Configuring uclibcxx.
Configuring mysql-server.
Configuring libreadline.
Configuring libncurses.
root@OpenWrt:/mnt/usb1#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root                30.4M     12.1M     18.3M  40% /
tmpfs                    30.2M      1.5M     28.7M   5% /tmp
tmpfs                   512.0K         0    512.0K   0% /dev
root@OpenWrt:/mnt/usb1#

root@OpenWrt:~# sed -i 's,^datadir.*,datadir         = "/srv/mysql",g' /etc/my.cnf
root@OpenWrt:~#
root@OpenWrt:~# sed -i 's,^tmpdir.*,tmpdir          = "/tmp",g' /etc/my.cnf

 

root@OpenWrt:~# mkdir -p /srv/mysql
root@OpenWrt:~# mysql_install_db --force
Installing MySQL system tables...
OK
Filling help tables...
OK

To start mysqld at boot time you have to copy
support-files/mysql.server to the right place for your system

PLEASE REMEMBER TO SET A PASSWORD FOR THE MySQL root USER !
To do so, start the server, then issue the following commands:

/usr/bin/mysqladmin -u root password 'new-password'
/usr/bin/mysqladmin -u root -h OpenWrt password 'new-password'

Alternatively you can run:
/usr/bin/mysql_secure_installation

which will also give you the option of removing the test
databases and anonymous user created by default.  This is
strongly recommended for production servers.

See the manual for more instructions.

You can start the MySQL daemon with:
cd /usr ; /usr/bin/mysqld_safe &

You can test the MySQL daemon with mysql-test-run.pl
cd /usr/mysql-test ; perl mysql-test-run.pl

Please report any problems with the /usr/scripts/mysqlbug script!

root@OpenWrt:~#

root@OpenWrt:~# /etc/init.d/mysqld start
Starting MySQL daemon... done
root@OpenWrt:~# /etc/init.d/mysqld enable

mysqladmin -u root password 'new-password'
 

root@OpenWrt:~# opkg update
opkg install php5-mod-mysqlDownloading http://downloads.openwrt.org/backfire/10.03.1/ar71xx/packages/Packages.gz.
Inflating http://downloads.openwrt.org/backfire/10.03.1/ar71xx/packages/Packages.gz.
Updated list of available packages in /var/opkg-lists/packages.
root@OpenWrt:~# opkg install php5-mod-mysql
Installing php5-mod-mysql (5.3.6-3.3) to root...
Downloading http://downloads.openwrt.org/backfire/10.03.1/ar71xx/packages/php5-mod-mysql_5.3.6-3.3_ar71xx.ipk.
Configuring php5-mod-mysql.
root@OpenWrt:~#

root@OpenWrt:~# sed -i 's,;extension=mysql.so,extension=mysql.so,g' /etc/php.ini
root@OpenWrt:~#

 

root@OpenWrt:~# netstat -nap
Active Internet connections (servers and established)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PID/Program name   
tcp        0      0 127.0.0.1:3306          0.0.0.0:*               LISTEN      2331/mysqld
tcp        0      0 0.0.0.0:80              0.0.0.0:*               LISTEN      1525/uhttpd
tcp        0      0 0.0.0.0:21              0.0.0.0:*               LISTEN      1555/vsftpd
tcp        0      0 0.0.0.0:53              0.0.0.0:*               LISTEN      1550/dnsmasq
tcp        0      0 0.0.0.0:22              0.0.0.0:*               LISTEN      1512/dropbear
tcp        0     48 192.168.1.1:22          210.115.223.46:58963    ESTABLISHED 2283/dropbear
netstat: /proc/net/tcp6: No such file or directory
udp        0      0 0.0.0.0:53              0.0.0.0:*                           1550/dnsmasq
udp        0      0 0.0.0.0:67              0.0.0.0:*                           1550/dnsmasq
netstat: /proc/net/udp6: No such file or directory
netstat: /proc/net/raw6: No such file or directory
Active UNIX domain sockets (servers and established)
Proto RefCnt Flags       Type       State         I-Node PID/Program name    Path
unix  6      [ ]         DGRAM                       260 303/syslogd         /dev/log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3849 2331/mysqld         /var/run/mysqld.sock
unix  2      [ ]         DGRAM                      1054 835/hostapd         /var/run/hostapd-phy0/wlan0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3695 2283/dropbear       /tmp/dropbear-ad87d49d/auth-59b4374a-7
unix  2      [ ]         DGRAM                      1878 835/hostapd        
unix  2      [ ]         DGRAM                      1670 1550/dnsmasq       
unix  2      [ ]         DGRAM                      1629 1512/dropbear      
unix  2      [ ]         DGRAM                       265 305/klogd          
root@OpenWrt:~#

 

root@OpenWrt:~#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root                30.4M     12.5M     17.9M  41% /
tmpfs                    30.2M      1.5M     28.7M   5% /tmp
tmpfs                   512.0K         0    512.0K   0% /dev
root@OpenWrt:~#

mysql –uroot –p패스워드 하면 잘된다.



이 글은 디지털단식이라는 책의 내용입니다. 회사에서 몇년 일하다보니 너무 공감이 가서 기억하려고 남겨둡니다.

 

IT관리예산, 배보다 배꼽이 큰격

시스템의 난립과 극단적인 부분 최적화는 시스템의 유지비용을 크게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미래에 각종 화근을 남긴다. 왜 유지비용이 상승할까? 그것은 불필요한 업무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각 업무 시스템이 본래의 목적이나 효과, 효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데보다 시스템이 멈추거나 문제가 발생치 않도록 하는데 더 큰 노력과 시간, 즉 비용이 지속적으로 들어간다는 말이다.

중략

변화무쌍한 환경에 비해 경직적인 업무 시스템은 명백히 비즈니스 현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불만이 제기가 되지 않더라도 문제는 내부적으로 생긴다. 일단 시스템에 큰 변화나 변경이 불가피한 상황이 되면 대소동이 일어난다. 여기저기 난립하고 극단적으로 개별 최적화된 시스템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어디부터 손을 대야 할 지 알 수 없는 상황이 된다.

쓸데없는 요구만 하는 이기적인 사용자들

그 원인은 무엇일까? “정보 시스템 부서의 기술이 떨어진다.”, “대충 만들었다.”, “예산이 없다.” 등등 다양한 비판이 있긴 하지만, 핵심을 찌른 지적은 하나도 없다.

진짜 원인은 대부분의 IT예산을 정보 시스템 부서에 집중하는데 있다. 달리 말하면 시스템을 이용하는 각 실무 부서가 자신들이 사용하는 업무 시스템에 대해 투자 책임, 비용 대 효과에 관한 책임을 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책임을 지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비판적인 프로야구 팬처럼 현실성이 있든 없든 일단 자신의 생각만 말한다. 회사의 영업 부서가 시스템에 관해 자신들의 편의만 생각하면 반드시 문제가 된다. 비용 대 효과는 고려하지 않고 당장 자신들이 하는 작업이 편해질 수 있는 시스템만을 요구하는 ‘몬스터 유저’가 증식하는 것이다.

그 대부분은 “왜 우리 회사의 시스템은 인터페이스가 친철하지 않은 거야?”, “나는 예전 시스템처럼 이 집계치를 화면의 이 위치에 표시하고 싶어. 안 그러면 불편하다고!” 같은 하찮은 요구다. 이에 대해 정보 시스템 부서에서 “하지만 시스템화에 들어가는 예산이 정해져 있고 정말 실현해야 할 기능과 샤양이 많아서 이번에는 요청을 들어 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라고 대답하면 “내가 자주 사용하는 인터넷 쇼핑몰의 시스템은 인터페이스가 그렇게 친절할 수 없는데, 왜 우리 회사는 이 모양이야!” 라는 되지도 않는 소리를 한다.

정보 시스템 관리자들이 차마 말하지 못하는 본심을 대신 말해주도록 하겠다.

“그런 하찮은 것보다 본질적으로 업무가 효율화되거나 고객에 대한 서비스가 향상될 포인트를 가르쳐 달라고!”

“그야 제품을 사는 고객이 사용하는 시스템이니 당연히 심혈을 기울여 편리하게 만들었겠지. 그게 사업의 핵심인데 당연하지 않겠어? 그러니까 그 위치에 집계 수치를 표시하라고 요구하기 전에 이 시스템의 업무상의 핵심이 뭔지 생각해 보라고!”

어느 회사에서나 드물지 않게 일어나는 불행한 현실이다. 각 부서는 시스템 투자에 관한 요청을 계속해서 시스템 부서에 보낸다. 요청을 보내는  쪽은 예산 권한도 없고 투자 대 효과에 관해 책임질 필요도 없으므로 오로지 자신들의 편의만 생각한다. 한편 정보 시스템 부서는 실무 부서의 불평과 비판이 두려워서 전문 용어를 구사해 회사의 재정이 허락하는 한계까지 IT투자를 늘리도록 유도한다. 그 결과 군살만 잔뜩 붙어 있고 근육은 없는 “비효율적인 시스템” 이 탄생하고 IT 예산도 비대해지는 것이다.

예산만 늘어날 뿐 기대했던 효과가 없다.

다이와 하우스 공업의 집행 임원이자 정보 시스템 부장인 가토 교지 씨는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정말 전체 최적화로 이어질지는 알 수 없습니다” 라고 단언했다. ‘현장의 목소리’ 라고는 하지만 결국은 현장에서 ‘목소리가 큰 사람’의 의견이 시스템에 반영되게 마련이라는 것이다.

“이런 일이 반복되면 점점 시스템이 비대해져, 일정 수준을 넘게 되어 사람이 컴퓨터에 구속되고 맙니다. 결국 시스템의 ‘비대화’와 ‘복잡화’, ‘현장력의 저하’가 반복되는 것입니다.”

요청 하나하나를 살펴보면 사소한 편리함을 추구한 것이 많음을 금방 알 수 잇다. 사업부 공통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장부의 레이아웃을 지금까지 부서에서 사용하던 것과 똑같은 형태로 바꾸기 위한 서브 시스템, 부서 고유의 영업 방식에 맞춘 부 전용 업무 관리 시스템 등, 주위를 둘러보면 일일이 열거하기도 힘들 정도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이래서는 IT예산만 부풀어 오를 뿐 사내의 정보 공유나 커뮤니케이션의 고도화 등, 애초에 원했던 결과로는 전혀 이어지지 않는다. 요청을 보내는 각 부서에서는 물론 전체 최적화 따위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그 결과 호환성이 없는, 활용되지 않는 데이터나 데이터베이스가 사내 여기저기에 만들어진다. 정보 공유는 진행되지 않고 운용과 입력만 더욱 번거로워지는 것이다.

경영자조차도 “우리 회사의 시스템 부서는 친절한 시스템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라든가 “IT예산이 비대해지고 있는데 투자에 걸맞는 효과나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라는 말을 할 때가 있다. 자신의 무책임함에서 비롯된 문제를 시스템 관리 부서에 전가하는 발언이다. IT 예산을 시스템 부서에 집중했거나 그러도록 용인한 장본인은 바로 경영자다. 그 결과 업무와 시스템이 분단되어 사소한 편리함만이 무의식중에 추구되면 쓸데없는 기능과 데이터, 정보가 넘쳐나고 IT중독을 조장하게 되었다.

기업의 업무 시스템은 인터넷의 출현으로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으며 항상 변화하지 않으면 가치가 감소하는 골치 아픈 존재가 되었다. 세부적인 문제점에 주목하기 전에 이런 불행한 상황을 계속 만들어 온 잘못된 구조, 원흉을 없애는 것이 경영자가 해야 할 일이다. 많은 기업의 업무 시스템은 경영자가 ‘결단’을 내리고 진두지휘하지 않으면 물리칠 수 없는 ‘괴물’이 되어 버렸다.



1. 무선네트워크 켜기

공유기에서 Network-Wifi 쪽 꺼져있는걸 켜면됨

2. SSID 이름 바꾸기

Network-Wifi 들어가서 SSID 변경

3. Security 방법 선택하고 비밀번호 설정하기

4. 포트포워딩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게 하는 방법)

http://blog.shar.kr/1026

5. ddns 서비스를 이용해서 도메인으로 접속하게 하기 ==> 잘됨

마이크로소프트 5월호 참고

6. OpenWrt에서 USB 인식시키기

http://blog.shar.kr/1024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in6113&logNo=90024158860&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

http://wiki.openwrt.org/doc/howto/usb.storage

http://hook.tistory.com/m/post/view/id/284

http://openwrt.ssu.ac.kr/bbs/board.php?bo_table=OpenWrt_QnA&wr_id=487

리눅스에서 FAT나 EXT3등으로 외장하드 포맷하기

http://blog.naver.com/synth9?Redirect=Log&logNo=130094707512

FAT로 인식시켜서 윈도우에서도 인식시키고, 리눅스에서도 인식시키자.

윈도우에서는 Partition Wizard로 FAT로 포맷 (Fat으로 하니까 파티션이 두개나오는데 FAT32로 하니까 하나로 잘됨)

mount -t vfat /dev/sda1 /mnt/usb1 -o rw,sync

USB뺄때는

umount /dev/sda1

USB 인식도 잘됨, 당분간은 FTP로 파일 업,다운으로 해야겠음.

7. FTP 설치하기

잘됨

http://blog.shar.kr/entry/OpenWRT-%EA%B3%B5%EC%9C%A0%EA%B8%B0%EC%97%90-FTP%EC%84%9C%EB%B2%84-%EA%B5%AC%EC%B6%95%ED%95%98%EA%B8%B0

8. lighttpd 설치하기

잘됨

실행

/etc/init.d/lighttpd start 

설치한후에 외부에서 들어가려면 network-firewall 에서 포트포워딩 81번 포트 추가해줌

임베디드 리눅스시스템 구축 및 응용 참고

디렉터리 보안기능 추가

root@OpenWrt:/mnt/usb1/OS_WWW/PROGRAM# opkg update
Downloading http://downloads.openwrt.org/backfire/10.03.1/ar71xx/packages/Packages.gz.
Inflating http://downloads.openwrt.org/backfire/10.03.1/ar71xx/packages/Packages.gz.
Updated list of available packages in /var/opkg-lists/packages.
root@OpenWrt:/mnt/usb1/OS_WWW/PROGRAM# opkg install lighttpd-mod-auth
Installing lighttpd-mod-auth (1.4.28-2) to root...
Downloading http://downloads.openwrt.org/backfire/10.03.1/ar71xx/packages/lighttpd-mod-auth_1.4.28-2_ar71xx.ipk.
Configuring lighttpd-mod-auth.
root@OpenWrt:/mnt/usb1/OS_WWW/PROGRAM#

설정은 다음 참고

http://hook.tistory.com/289

9. vi에서 한글이 깨지는 문제 해결하기

어떻게 해야 되나?

 

10. PHP 설치

잘됨

임베디드 리눅스시스템 구축 및 응용 참고

 

11. DB설치

mysql ? litesql ?

 

12. 파일공유 (SAMBA) --> 윈도 PC에서 읽기는 되는데 아직 쓰기가 안되네요. 

윈도우에서 리눅스파일을 공유폴더로 접근해보자

삼바란?

http://eincs.net/2010/03/file-transfer-between-window-unix-with-samba/

삼바 재시작

smbd restart

삼바 시작

smbd -D

확인

netstat -nap

윈도우 Xp에서는 아주 잘 되고 윈도우 2008에서 접속이 안되네

이것저것 해보고 있는중

http://songeehana.blog.me/40154128760

http://www.coffeedust.com/2010/07/windows-vista-home.html

http://www.petri.co.il/how-to-disable-smb-2-on-windows-vista-or-server-2008.htm

 http://takuma99.tistory.com/166

 

==> XP에서는 수정은 안되도 읽기는 잘 됬는데, 윈도우7에서는 기본적으로 안된다..

제어판 > guest 계정을 사용으로 변경


13. 시작 프로그램 등록

 

/etc/rc.local

 

에 명령어 추가하면 시작시 실행됨

 

 

* 참고문서

http://hook.tistory.com/288#trackback8350355

'IT 개발 > OS-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r 옵션 (파일내용보기, 특정파일만 풀기)  (0) 2012.08.10
openwrt에서 mysql설치해보자  (1) 2012.05.30
페도라코어8이상에서 ssh포트문제  (0) 2011.08.23
리눅스 SSH 활용  (0) 2011.08.23
tail 사용하기  (0) 2011.03.10


OpenWRT설치

마이크로소프트 잡지를 보고 한번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WZR-HP-G300NH 를 샀습니다.

그래서 시키는 대로 했는데… 이상하게 u-boot 가 되지 않더라구요. tftp 업로드가 되어야 하는데 계속 반응없이 끝나버리고 수차례 반복됬습니다.

그러다가 DD-WRT 설치 후 OpenWRT 설치를 하면 된다는 글을 보고 DD-WRT를 설치해보니 과연 잘 되더라구요.

거기서 바로 mrt 를 사용해서 DD-WRT에서 바로 OpenWRT를 설치하였는데, 이런..

동작하지 않고 벽돌(Bricked)이 되었습니다.

찾아보던 중에 저같은 사람은 두가지가 있는것 같습니다.

1) DD-WRT 설치 후 mrt를 사용해서 OpenWRT설치 ==> 이거 하다가 벽돌되었음.. 이유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2) DD-WRT 설치 후 telnet에 접속해서 펌웨어 설정을 바꾸어 u-boot lock 이 된 것을 푼다. 글을 보니 일본에서 나온 제품이나 요즘 제품은 lock이 걸려있다고 하네요. 그걸 풀고 다시 tftp로 보내서 설치하면 될것 같습니다. 다시 똑같은 상황이 되면 2번으로 해봐야겠습니다.

어쨌든 벽돌이 되어버려서 이것저것 다해봤는데 u-boot가 안되니 뭘해도 안되네요. 결국 AS보내서 1:1 교환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새걸로 하니까 tftp 가 한번에 바로 되면서 술술술~ 설치가 되네요. 마소잡지내용이랑 동일하게 진행하면 됩니다. 그리고 앞으로 잘못되어도 u-boot를 이용해서 다시 펌웨어 설치해주면 되니까 문제도 없을것 같네요.

아무래도 문제는 펌웨어 버전 차이였던것 같습니다.

너무 잘되고 OpenWRT 너무 좋네요. LUCI라는 웹인터페이스도 상세하고 잘되있어서 놀래고 있습니다~~



1. PING 결과를 PHP로 받기

<?
$outputShel8 = shell_exec("ping -c2 -w2 125.137.163.168") ;
if(strpos($outputShell, '0 received'))
{
echo "<font color=blue>O</font>";
}
else
{
echo "<font color=red>X</font>";
}
?>

인자를 조절하면 여러개의 서버를 한번에 받을 수도 있다.

원문 : http://www.phpschool.com/gnuboard4/bbs/board.php?bo_table=qna_function&wr_id=351186#c_351186

 

2. 웹서버 응답 확인하기

http://10.10.10.10/response/response_php.php

에는 그냥 text로 "1번서버 정상!" 이렇게 출력하게 하고 모니터링 하는 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한다.

 $str_php3 = file_get_contents('http://10.10.10.10/response/response_php.php');

 if (strstr($str_php3,"정상") != "")
 {
  $STATUS = "NORMAL";
 }
 else
 {
  $STATUS = "CRITICAL";
 }

이건 약간의 편한 방법이고 범용적인 경우는 다음 참고

http://blog.shar.kr/8

 

 




그동안의 시행착오를 정리해 보기로 합니다.

  

 

DD-WRT는여기보고 참고


DD-WRT 설치 후 openWRT설치하는 방법 한글로 설명


벽돌이 되었다. - 그냥 DDWRT 에서 OpenWRT 설치하지 않고 그냥 TFTP U-Boot 되도록 설정만 바꿔줄껄 후회가 된다.

벽돌폰 살리는 단서


DD-WRT를 깔고 나서 환경설정을 바꿔서 TFTP U-BOOT가 되게 하기! - 이번엔 이렇게 해보자!

 

하다가 다 실패한 후 AS받아서 모델 바꾸고 DD-WRT설치 후 OpenWRT설치하니 잘된다.!